
대 표 김 선 용
주 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고안로 51번길 175-28
전 화 031-330-7854
팩 스 031-330-7120
이 메 일 spyoon@iae.re.kr
홈페이지 www.iae.re.kr
<회사 소개>
고등기술연구원 플랜트엔지니어링본부에서는 30년 이상 축적된 연구 설비 운영과 엔지니어링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에너지 및 환경 플랜트 설비 개발에 적용하고 있
으며, 고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대기업 및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있다. 석탄, 석유코크스, 중질잔사유, 폐기물, 바이오매스 등 다양한 원료의 가스화와 액화기술 개발, 합성가스
고순도 정제 및 수소생산을 통한 연료전지 연계 발전기술 개발, 가스화/열분해 기술의 응용을 통한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를 환경에 적합하게 처리하면서 에너지원으로 활용
할 수 있는 공정기술 개발 등을 하고 있으며, 플랜트의 설계/건설/시운전까지 종합한 Turn-key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. 또한, 차세대 에너지원인 수소 제조를 위한 고온 수
전해 전극 개발 및 지구온난화 가스를 저감하는 촉매와 공정기술 개발, 환경에너지 분야 에 대한 중소기업 기술지원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. 고온 고압의 석탄/석유코크스 가스화
연구로부터 축적된 가스화용융에 대한 기반기술을 하수 슬러지 및 생활폐기물 처리에 성공적으로 적용하여, 2003년 1월과 12월에 환경부 신기술을 각각 지정받은 바 있다.
<일반사항>
- 기술의 개요
•가스화 : 산소를 이용하여 석탄/석유코크스 등을 가스화시켜 합성가스로 전환
• 정제 : 합성가스에 포함된 분진 및 오염가스(H₂S ,HCl 등)를 후단의 합성가스 이용분야 (수소, 발전, 연료전지, 합성연료 등)에서 요구하는 수준으로 정제
• 수소 및 원료 생산 : 정제된 합성가스로부터 고순도 수소, 합성원료, 화학원료 등을 생산
• 연료전지 발전 : 초고순도로 정제된 합성가스로부터 고순도 수소를 생산한 후 연료전지를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
• 복합발전 : 정제된 합성가스를 연소시켜 가스터빈에서 1차 발전하고, 가스터빈 배기가스 열을 이용, 증기를 생산하여 증기터빈에서 2차 발전하는 복합발전 방식
- 기술개발 기대효과
• 가스화 기술은 석탄, 석유코크스, 중질잔사유, 폐기물, 바이오매스 등의 저급 시료를 연소 시켜 열을 이용하는 대신 가스화 반응을 통해 화학에너지를 가진 일산화탄소(CO)와
수소(H₂)로 전환시키므로 고효율이면서도 환경적으로도 청정하게 사용 가능함
• 다양한 저급 시료의 가스화를 통해 생산되는 합성가스(CO, H₂)는 수소, 발전, 합성연료(DME, SNG 등) 및 화학원료(메탄올, 비료 등) 제조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
활용이 가능함
• IGCC 기술은 미분탄 연소 발전소에 비해 발전효율이 높고 설비 투자비와 발전 원가가 낮아 기존의 미분탄 발전소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발전기술로서 CO₂ 와
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
• IGFC 기술은 미세먼지 발생이 없고 CO₂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발전효율이 60% 이상 가능한 초청정 고효율 발전기술임
• 석유코크스/석탄 기반 수소생산 기술은 대용량으로 고순도 그레이수소 또는 블루수소를 저가로 생산할 수 있는 대안임
• 석탄/석유코크스 가스화, CTL 등과 같은 대규모 플랜트의 고유기술 확보를 통해 국내외시장 진입 및 신성장 동력 창출이 가능함
- 연구 성과
•연료전지 연계 발전을 위한 석탄 합성가스의 고순도 정제시스템 및 통합공정 운영기술 개발
•석탄가스화기로부터 발생된 합성가스를 사용한 화학원료 전환기술 개발
•석탄가스화 합성가스 제조공정 및 발전 시스템 기술개발
•합성가스 활용 DME 제조시스템, 가스엔진 발전시스템, 연소열이용 시스템 구축 및 공정개발
•우수한 품질의 국내 고유 고온탈황제 개발 및 저온탈황공정 개발
•해외 상용급 플랜트와 동등한 석탄 합성가스 및 슬랙 생산에 성공
•폐기물 가스화/용융 처리를 통한 합성가스 생산 및 이용 시스템 실증연구
•개발된 기술을 spin-off 적용한 폐기물 가스화/용융시스템 및 슬러지 용융시스템 개발 및 생산된 합성가스의 이용 시스템 실증연구
<대표 제품>

대 표 김 선 용
주 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고안로 51번길 175-28
전 화 031-330-7854
팩 스 031-330-7120
이 메 일 spyoon@iae.re.kr
홈페이지 www.iae.re.kr
<회사 소개>
고등기술연구원 플랜트엔지니어링본부에서는 30년 이상 축적된 연구 설비 운영과 엔지니어링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에너지 및 환경 플랜트 설비 개발에 적용하고 있
으며, 고부가가치 창출을 목표로 대기업 및 중소기업을 지원하고 있다. 석탄, 석유코크스, 중질잔사유, 폐기물, 바이오매스 등 다양한 원료의 가스화와 액화기술 개발, 합성가스
고순도 정제 및 수소생산을 통한 연료전지 연계 발전기술 개발, 가스화/열분해 기술의 응용을 통한 폐기물 및 바이오매스를 환경에 적합하게 처리하면서 에너지원으로 활용
할 수 있는 공정기술 개발 등을 하고 있으며, 플랜트의 설계/건설/시운전까지 종합한 Turn-key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. 또한, 차세대 에너지원인 수소 제조를 위한 고온 수
전해 전극 개발 및 지구온난화 가스를 저감하는 촉매와 공정기술 개발, 환경에너지 분야 에 대한 중소기업 기술지원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. 고온 고압의 석탄/석유코크스 가스화
연구로부터 축적된 가스화용융에 대한 기반기술을 하수 슬러지 및 생활폐기물 처리에 성공적으로 적용하여, 2003년 1월과 12월에 환경부 신기술을 각각 지정받은 바 있다.
<일반사항>
- 기술의 개요
•가스화 : 산소를 이용하여 석탄/석유코크스 등을 가스화시켜 합성가스로 전환
• 정제 : 합성가스에 포함된 분진 및 오염가스(H₂S ,HCl 등)를 후단의 합성가스 이용분야 (수소, 발전, 연료전지, 합성연료 등)에서 요구하는 수준으로 정제
• 수소 및 원료 생산 : 정제된 합성가스로부터 고순도 수소, 합성원료, 화학원료 등을 생산
• 연료전지 발전 : 초고순도로 정제된 합성가스로부터 고순도 수소를 생산한 후 연료전지를 가동하여 전기를 생산
• 복합발전 : 정제된 합성가스를 연소시켜 가스터빈에서 1차 발전하고, 가스터빈 배기가스 열을 이용, 증기를 생산하여 증기터빈에서 2차 발전하는 복합발전 방식
- 기술개발 기대효과
• 가스화 기술은 석탄, 석유코크스, 중질잔사유, 폐기물, 바이오매스 등의 저급 시료를 연소 시켜 열을 이용하는 대신 가스화 반응을 통해 화학에너지를 가진 일산화탄소(CO)와
수소(H₂)로 전환시키므로 고효율이면서도 환경적으로도 청정하게 사용 가능함
• 다양한 저급 시료의 가스화를 통해 생산되는 합성가스(CO, H₂)는 수소, 발전, 합성연료(DME, SNG 등) 및 화학원료(메탄올, 비료 등) 제조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
활용이 가능함
• IGCC 기술은 미분탄 연소 발전소에 비해 발전효율이 높고 설비 투자비와 발전 원가가 낮아 기존의 미분탄 발전소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발전기술로서 CO₂ 와
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
• IGFC 기술은 미세먼지 발생이 없고 CO₂저감 효과가 크면서도 발전효율이 60% 이상 가능한 초청정 고효율 발전기술임
• 석유코크스/석탄 기반 수소생산 기술은 대용량으로 고순도 그레이수소 또는 블루수소를 저가로 생산할 수 있는 대안임
• 석탄/석유코크스 가스화, CTL 등과 같은 대규모 플랜트의 고유기술 확보를 통해 국내외시장 진입 및 신성장 동력 창출이 가능함
- 연구 성과
•연료전지 연계 발전을 위한 석탄 합성가스의 고순도 정제시스템 및 통합공정 운영기술 개발
•석탄가스화기로부터 발생된 합성가스를 사용한 화학원료 전환기술 개발
•석탄가스화 합성가스 제조공정 및 발전 시스템 기술개발
•합성가스 활용 DME 제조시스템, 가스엔진 발전시스템, 연소열이용 시스템 구축 및 공정개발
•우수한 품질의 국내 고유 고온탈황제 개발 및 저온탈황공정 개발
•해외 상용급 플랜트와 동등한 석탄 합성가스 및 슬랙 생산에 성공
•폐기물 가스화/용융 처리를 통한 합성가스 생산 및 이용 시스템 실증연구
•개발된 기술을 spin-off 적용한 폐기물 가스화/용융시스템 및 슬러지 용융시스템 개발 및 생산된 합성가스의 이용 시스템 실증연구
<대표 제품>